HHKB jp 일본어 배열은 방향키가 존재 하여 구입.
Windows 레지스트리 변경으로 사용. 다른 키보드를 사용하더라도 영향을 주지 않음
1. 윗방향키 왼쪽키 우 쉬프트로 변경
2. 스페이스 오른쪽 오른쪽 키 우 쉬프트로 변경(편함)
MAC
1. Seil를 사용하여. 일본어 배열 특정값 변경 (스페이스 좌우 있는 키값들)
2. Karabiner(?)를 사용해서 키값 보정.
위의 방법으로 개인적으로 사용의 불편함 없음.
집에서나 회사에서나
HDD에 영문8
SSD 빈거
USB 8g이상
영문8에서 복구 드라이브 생성(USB)
HDD->SSD
USB부팅
설치 73%에서 reboot
USB제거
업데이트시작
언어변경은 8.1이후로..
다시 설치 실패되면, 해당 SSD 포멧후 다시 시도.
http://chrome.richardlloyd.org.uk/
chmod u+x install_chrome.sh ./install_chrome.sh
install_chrome.sh
한줄 요약~~~. 뭐냐?
바스켓은 기존 것과 같아 보였음.
FIX는 D사의 그것과 비슷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고.
알고리즘은 모르겠고. 트레이더들이 안할것 같은데.. 굳이 왜 할려는지.. yes stock? -> 이것이 빠르다고 얘기는 하지 마시고.... 그냥 엑셀을 더 특화 하는 편이 좋을 것 같음.
LP는 할말이 많지만 닥치겠음.
양방향 DDE는 혹 했음.
선물은 빨랐지만, K200 시세는 느렸음. 거래소는 2초인데 3초동안 변하지 않은 것 같음.
챠트는 일반 HTS것 채용한 것 같고.
속도는 100배 빠르다고 얘기하는 것은 UNIX->LINUX 가서 그렇다는 얘기로 들리는데.
다른 얘기는 프로그램이 좋아서가 아니고 OS탓인가?
K-FRONT - MTS의 HTS화 ... 왜그랬니... <- 한줄요약.
ps. FIX, LP는 UI copy 심한것 같음... 좋은 인력두고 배끼기나 하고 ㅡ.ㅡ; 절 델꼬 가세요 ㅡ,ㅡ;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