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만능청약통장
弄
2009. 5. 7. 14:36
아무것도 모르는데 언급하기는 그렇지만.
사람들이 많이 관심을 가지나 보다.
신생아도 가입을 한다고 하는데.
그 신생아가 커서 살 집을 지금부터 걱정해야 하는 것이 우습고.
그 신생아가 커서 '청약'을 받아야만 집을 살 수 상황인지도 궁금하고.
그 신생아가 커서 '청약'을 할때 즈음 모아논 돈이 있을지 궁금하다.
왜 나라에서 이런 정책을 내는지도 궁금한데.
한쪽으로는 소비를 장려하면서.
한쪽에서는 갓난아기가 살 집 걱정을 해야 한다며 '만능청약통장'을 강요하는지.
몇 줄 요약하면.
누구나 다하는 것이면 왜 만드는 것인지?
코 묻은 돈(?)과 비슷한 금액을 가지고 '정부'는 어떤짓을 하려는지?
만약 신생아가 집을 마련해야 겠다고 생각한 시점에서 그 청약 통장이 유효하게 쓰일건지?
의문스럽다.
대박이라던 각 '신도시'가 10~15년후에 현재의 학교를 다니는 학생이 사회로 진출할 경우 현재의 '신도시'는 누구만이 남아 있으냐 하는 것.
저출산 문제로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 질때는 어떻게 할거냐?
시간나면 '만능청약통장'에 대해 알아봐야겠다.
사람들이 많이 관심을 가지나 보다.
신생아도 가입을 한다고 하는데.
그 신생아가 커서 살 집을 지금부터 걱정해야 하는 것이 우습고.
그 신생아가 커서 '청약'을 받아야만 집을 살 수 상황인지도 궁금하고.
그 신생아가 커서 '청약'을 할때 즈음 모아논 돈이 있을지 궁금하다.
왜 나라에서 이런 정책을 내는지도 궁금한데.
한쪽으로는 소비를 장려하면서.
한쪽에서는 갓난아기가 살 집 걱정을 해야 한다며 '만능청약통장'을 강요하는지.
몇 줄 요약하면.
누구나 다하는 것이면 왜 만드는 것인지?
코 묻은 돈(?)과 비슷한 금액을 가지고 '정부'는 어떤짓을 하려는지?
만약 신생아가 집을 마련해야 겠다고 생각한 시점에서 그 청약 통장이 유효하게 쓰일건지?
의문스럽다.
대박이라던 각 '신도시'가 10~15년후에 현재의 학교를 다니는 학생이 사회로 진출할 경우 현재의 '신도시'는 누구만이 남아 있으냐 하는 것.
저출산 문제로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 질때는 어떻게 할거냐?
시간나면 '만능청약통장'에 대해 알아봐야겠다.